입출력, (가변 길이) 배열, 스택, 큐, 덱, 문자열, 시간 복잡도, 정렬



1. 입출력

프로그래머스나 leetcode같은 플랫폼은 함수의 리턴값으로 정답을 판별하는 반면,

boj에서는 콘솔에 출력된 문자들로 정답을 판별합니다.

언어별로 입/출력 방식은 모두 다릅니다. 때로는 입력과 출력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언어들도 있습니다.

ex) c++의 iostream, python의 input()

물론, 언어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가 존재합니다.

ex) c++의 ios::sync_with_stdio(false); cin.tie(NULL), python의 sys.stdin.readline()

google의 코드잼, 킥스타트나 samsung의 Codeground에선 입출력으로 정답을 판별했고,

프로그래머스, goorm 등의 플랫폼에서 진행하는 코테에선 함수를 완성해서 리턴값으로 정답을 판별했습니다.

두 가지 모두 연습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

연습 문제